대한민국 국무총리비서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국무총리비서실은 국무총리의 직무를 보좌하는 기관으로, 국무총리의 대국회 활동 지원, 당정 협력, 국정 자문, 정보 수집, 민원 처리, 시민단체 지원, 국정 홍보, 연설문 작성, 국무조정실 업무 지원, 의전, 경호, 국무총리공관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1960년 8월 19일 설치되었으며, 내각수반비서실로 개편되었다가 국무총리비서실로 다시 개편되었다. 2008년 국무총리실로 통합되었다가 2013년 국무조정실과 분리되었다. 실장 아래 정무실, 민정실, 공보실, 의전비서관실 등의 조직을 갖추고 있으며, 총 97명의 정원을 둔다. 2023년 예산은 총 6763억 1900만 원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국무총리비서실 - 대한민국 내각수반비서실
대한민국 내각수반비서실은 국무총리 폐지와 내각수반 설치로 국무총리비서실이 개편되어 1962년 4월 10일부터 1963년 12월 17일까지 존속했던 행정 기관으로, 내각수반 폐지 후 국무총리 재설치와 함께 국무총리비서실로 환원되면서 폐지되었다. - 대한민국 국무총리비서실 - 대한민국의 국무총리비서실장
대한민국의 국무총리비서실장은 대통령이 임명하여 국무총리의 정책 수행을 지원하며 정책 결정, 대정부 질의응답 준비, 국무회의 자료 준비, 일정 관리, 연설문 작성, 국내외 인사 소통 등 다양한 업무를 담당하는 직책으로, 직급은 정부에 따라 차관급 또는 장관급으로 변동되었고 문재인 정부에서는 배재정이 최초의 여성 국무총리비서실장으로 임명되었다. - 1962년 폐지 - 프랑스령 북아프리카
프랑스령 북아프리카는 19세기부터 20세기 중반까지 프랑스가 북아프리카 지역에 설치했던 식민지 및 보호령을 포괄하는 용어이며, 알제리, 튀니지, 모로코를 포함하고, 튀니지와 모로코는 1956년에, 알제리는 1962년에 독립했다. - 1962년 폐지 - 대한민국 국토건설청
대한민국 국토건설청은 1961년 경제기획원 외청으로 설치되어 국토 건설 업무를 담당했던 행정 기관이었으나, 1962년 건설부 신설로 폐지되었다. - 세종특별자치시 소재의 관공서 - 대한민국 고용노동부
대한민국 고용노동부는 고용, 노동 관련 사무를 총괄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사회부 노동국에서 출발하여 노동청, 노동부를 거쳐 2010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고용정책, 근로조건, 노사관계, 산업안전보건 등의 업무를 관장한다. - 세종특별자치시 소재의 관공서 - 대한민국 기획재정부
대한민국 기획재정부는 대한민국의 경제 및 재정 정책을 총괄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중장기 국가발전전략 수립, 경제·재정정책 수립, 예산·기금 편성, 조세·관세 정책, 국고·국유재산 관리, 국제금융·경제협력, 공공기관 관리 등의 사무를 관장하며 장관은 경제부총리를 겸임한다.
대한민국 국무총리비서실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국무총리비서실 |
영어명 | Prime Minister's Secretariat |
약칭 | 총리비서실, PMS |
![]() | |
설립일 | 2013년 3월 23일 |
설립 근거 | 정부조직법 제21조 제1항 |
전신 | 국무총리실, 특임장관실 |
소재지 | 세종특별자치시 다솜로 261 |
직원 | 97명 |
예산 (세입) | 2300만 원 |
예산 (세출) | 6763억 1900만 원 |
기관장 직책 | 실장 |
기관장 성명 | 박성근 |
상급 기관 | 국무총리 |
웹사이트 | 국무총리비서실 |
조직 | |
산하 기관 | 조직 |
2. 소관 사무
대한민국 국무총리비서실은 국무총리의 직무를 보좌하는 다양한 사무를 담당한다. 국무총리의 대국회활동 보좌, 당정협조업무, 국정 자문, 국내외 주요 정보 및 상황 파악, 민원 처리 및 조정, 시민단체 지원 및 협력, 국정활동 홍보, 연설문 및 담화문 작성, 국무조정실 업무 홍보 지원, 의전, 경호 및 귀빈 영접, 국무총리공관 유지 관리, 그 밖의 국무총리 지시사항 처리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1960년 8월 19일 국무총리 소속으로 국무총리비서실이 설치되었다.[5] 1962년 4월 20일 내각수반비서실로 개편되었다가,[6] 1963년 12월 17일 다시 국무총리비서실로 개편되었다.[7]
대한민국 국무총리비서실은 실장 아래 여러 비서관실을 두고 있다. 정무실은 정무기획비서관실과 정무협력비서관실을, 민정실은 민정민원비서관실과 시민사회비서관실을, 공보실은 소통총괄비서관실, 디지털소통비서관실, 소통메시지비서관실을 두고 있다. 의전비서관실도 실장 산하 하부조직이다.
대한민국 국무총리비서실에 두는 공무원의 정원은 총 97명이다.[1] 이 중 정무직은 실장 1명,[1] 별정직은 6급 상당 이하 2명,[1] 일반직은 94명이다.[1] 일반직 94명은 고위공무원단 11명, 3급 이하 5급 이상 46명, 6급 이하 37명으로 구성된다.[1]
총수입·총지출 기준 2023년 재정 규모는 다음과 같다.[2][3][4]
[1]
문서
「국무총리비서실 직제」 별표
3. 연혁
2008년 2월 29일에는 국무총리비서실과 국무조정실을 국무총리실로 통합하였다.[8] 이후 2012년 9월 17일 정부세종청사로 이전하였고,[9] 2013년 3월 23일 국무총리비서실과 국무조정실로 분리되면서 특임장관실을 폐지하고 소관사무를 이관받았다.[10]
4. 조직
실 비서관실 실장 산하 하부조직 정무실 정무기획비서관실ㆍ정무협력비서관실 민정실 민정민원비서관실ㆍ시민사회비서관실 공보실 소통총괄비서관실ㆍ디지털소통비서관실ㆍ소통메시지비서관실 의전비서관실
5. 정원
6. 재정
구분 세입예산 작년 대비 증감 일반회계 2300만 원 - 합계 2300만 원 - 구분 세출예산 작년 대비 증감 일반회계 국정운영 6643억 8900만 원 +3.23% 에너지 및 자원사업 특별회계 국정운영 119억 3000만 원 -2.64% 합계 6763억 1900만 원 -3.02%
참조
[2]
문서
국무총리비서실과 합산한 예산
[3]
웹인용
열린재정 > 재정연구분석 > 재정분석통계 > 예산편성현황(총수입)
https://www.openfisc[...]
2023-03-10
[4]
웹인용
열린재정 > 재정연구분석 > 재정분석통계 > 세목 예산편성현황(총지출)
https://www.openfisc[...]
2023-03-10
[5]
법률
국무원령 제67호
[6]
법률
각령 제668호
[7]
법률
법률 제1506호
[8]
법률
법률 제8852호
[9]
뉴스
국무총리실 세종시 이전, 정부세종청사 시대 '개막'
http://news1.kr/arti[...]
2012-09-15
[10]
법률
법률 제11690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